울산광역시 탄소중립지원센터
팝업존
전체메뉴
울산광역시 탄소중립지원센터 주메뉴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센터소개
센터장 인사말
센터 소개
설립목적
조직도
오시는 길
탄소중립
기후변화 현황
시민 인식조사
온실가스 배출현황
국내 기후위기 대응 동향
탄소중립 기본계획
울산시 탄소중립 정책
온실가스 감축 효과
주요사업
2025년
2024년
2023년
2022년
탄소맵
울산광역시 현황
구별 현황
울주군
북구
중구
남구
동구
센터소식
공지사항
보도자료
홍보·안내
자료실
브리프
통계자료
행사자료
탄소중립 기본계획
홈으로
탄소중립
센터소개
탄소중립
주요사업
탄소맵
센터소식
자료실
사이트맵
탄소중립 기본계획
기후변화 현황
시민 인식조사
온실가스 배출현황
국내 기후위기 대응 동향
탄소중립 기본계획
울산시 탄소중립 정책
온실가스 감축 효과
자문위원단 명단
탄소중립
▼
기후변화 현황
시민 인식조사
온실가스 배출현황
국내 기후위기 대응 동향
탄소중립 기본계획
울산시 탄소중립 정책
온실가스 감축 효과
탄소중립
>
탄소중립 기본계획
탄소중립 기본계획 추진체계
전환 부문
(에너지 전환) 석탄발전 감축 및 원전·재생e 확대 등 청정에너지 전환 가속화
*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22) 9.2% → ('30) 21.6%+@
(수요 효율화) 전력 계통망 및 저장체계 등 기반 구축과 시장원리에 기반한 합리적인 에너지 요금체계 마련
산업 부문
(기술 확보) 기술혁신펀드 조성, 보조·융자 확대로 기업의 감축기술 상용화 지원
(감축 유도)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의 배출효율기준 할당 확대 등 기업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자발적인 감축 활동 유도
* 배출권거래제 배출효율기준 할당 비중 : ('21) 65% → ('30) 75%
건물 부문
(건물 혁신) 신축제로에너지건축물(ZEB) 확대*, 기축그린리모델링 확산**
* 제로에너지 건축물(누적) : ('22) 2,950건 → ('30) 4.7만건
** 그린리모델링(누적) : ('22) 7.3만건 → ('30) 160만건
(에너지효율 향상) 건물 성능 정보 공개를 확대하여 효율 개선 유도
수송 부문
(무공해차 전환) 전기·수소차 보급 확산, 디젤열차의 전기열차 전환, 무탄소(e메탄올 등) 선박 핵심기술 확보 등 이동 수단의 저탄소화
* 무공해차 등록 비중(누적) : ('22) 1.7%(42만대) → ('30) 16.7% (450만대)
(내연차 관리) 내연자의 온실가스·연비 기준 강화 및 저탄소 연료 기술개발, 수요 응답형 교통(DRT) 확대 등 대중교통 활성화
농축수산 부문
(농업) 스마트팜 확산, 저탄소 생산기술 및 농기계·시설 개발·보급
* 스마트온실/축사 : ('22) 7,076ha/6,002호 → ('27)1만ha/11,000호
(축산업) 저메탄사료 개발 및 가축분뇨 활용 확대
* 메탄저감사료 보급률 : ('22) 0% → ('30) 30%
(수산업) LPG·하이브리드 어선 개발 및 양식·수산가공업 저탄소·스마트화
수소 부문
(생산·인프라) 수전해 기반 그린수소 등 핵심기술 실증 및 수소액화 플랜트·수소 배관망 등 인프라 구축
(생태계) 내연차·선박·트램 등 수소 모빌리티 다양화 및 수소 클러스터·수소 도시 지정
흡수원 부문
(산림·해양) 산림순환경영 등으로 산림의 흡수·저장기능을 강화하고, 연안습지의 복원과 바다숲 확대 등 해양 흡수원을 관리
(신규흡수원) 도시숲 조성·유휴토지 조림 등을 통해 신규 흡수원 확대 조성
CCUS 부문
(인프라) CCUS법 제정 및 동해 가스전을 활용한 CCS 실증과 추가 저장소 확보
(기술개발) CCU 원천 기술개발부터 실증·사업과까지 원스톱으로 지원
국체감축 부문
(기반구축) 국제감축사업의 승인·취득·실적관리 등 이행기반 마련
(사업발굴) 주요국과 산업·국토·교통 등 부문별 사업 적극 발굴·추진
* 베트남, 몽골, 가봉, UAE, 인도네시아 등
탄소중립 거버넌스
탄소중립(Carbon Neutrality)의 정의
현재
미래
계획 수립 배경
Time
시간범위
계획기간 : 2024-2033년(10년)
기준연도: 2018년
목표연도: 2030년(중장기),2050년(탄소중립)
Geography
공간범위
울산광역시전역
Policy
내용범위
온실가스 배출·흡수 현황 및 전망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부문별·연도별 이행대책
기후변화 감시·예측·영향·취약성평가 및 재난 방지 등 적응대책
기후위기가 공유재산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 및 지자체 간 협력 사항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교육·홍보에 관한 사항
이행관리 및 환류체계 구축 등
계획 수립 지침 (지자체 기본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기준연도 :
2018년(국가 기준연도와 동일하게 설정)
계획기간 :
2024 ~ 2033년(10년), 5년마다 갱신
대상 :
지자체 관리권한이 있는 부문
건물, 수송, 농축수산, 폐기물, 흡수원 (전환, 산업부분 등은 지자체 관리 권한이 아님)
지역 온실가스 배출량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GIR) 제공 차량등록대수 및 주행거리(VKT, Vehicle Kilometers Traveled)를 기준으로 산정된 인벤토리를 사용(’23. 7. 최신자료 적용)
지자체 관리권한이 있는 비산업부문(가정, 상업공공, 도로수송, 농축수산, 폐기물)의 직간접 배출량으로 재구성
전망배출량(BAU) :
지자체 자체적으로 모델(통계적 방법 사용) 적용
기본계획 주요항목
온실가스 배출·흡수 현황 및 전망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 목표 및
부문별·연도별 이행대책
기후변화 적응대책
공유재산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국제협력 및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
교육· 홍보
녹색성장 촉진에 관한 사항
청정에너지 전환 및 정의로운 전환
이해관계자 참여 강화 :
기본계획 수립 및 점검 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보장하여야 함
이행관리 및 환류계획 :
주기적으로 추진현황 점검 및 수정・보완할 수 있는 환류체계 구축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지자체 온실가스 감축 관리 툴 제공, 기본계획과 함께 제출
* 출처 : 환경부(2023), 지자체 탄소종합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 및 추진상황 점검 가이드라인